안데스의 음악처럼 삶의 터전을 빼앗긴 아픔이 나타나고,

스페인의 플라멩코처럼 억압받는 삶의 설움이 음악으로 승화된다. 또한 이 땅의 모든 Music은 그 시대의 이야기들이다.

그 현실 속이 아픔이라면 아픔을 표현하고 희망을 전해주는 음악이 주를 이루는 것은 당연힌 일이다.

그러다 보니 다분히 정치적인 성향을 띠는 건 당연한 거다.

 

특히 식민지배나 독재를 겪었던 많은 나라에서 저항의 메시지의 음악으로 많은 데,

동시대의 아픔을 호흡했던 음악가들이 들려주는 현실 참여의 메시지인 것이다. 또한 그 시대가 필요로 하는 생생한 생명력을 음악에서 느낄 수 있게 된다. 그 어느 곳보다도 어두운 현대사를 겪어 온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시대의 아픔과 동시에 새로운 미래에 대한 희망을 담은 많은 음악들이 민중들에게 그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전했다.

 

중남미의 현대사를 음악을 통해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반드시 만나게 되는 이름이 있다. 아르헨티나의 메르세데스 소사(MercedesSosa)나 칠레의 빅토르 하라(VictorJara)와 같은 인물들이 그 대표적인 음악가들이다. 또한 이들처럼 깨어 있는 음악가들의 노력은 라틴 아메리카 사람들의 정체성을 일깨우며 누에바 칸시온(NuevaCancion)이라는 이름의 노래운동으로 이어져 중남미 대부분의 나라에 확산되었고, 단순한 음악적 흐름 이상의 의미와 가치로 기록되고 있다

 

 

사진출처,마젠타님블로그, 기타연주하는 비올레타 파라

 

60년대에서 70년대의 라틴 아메리카는 정치적인 혼란과 더불어 외국 거대 자본의 막강한 힘에 휘둘렸었다. 빈부의 격차뿐만 아니라 미국을 등에 업은 군부 독재정권의 횡포로 인해 민중들은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권리마저 갖지 못한 채 고초를 겪어왔다. ‘새로운 노래라는 뜻을 지닌 누에바 칸시온(NuevaCancion)은 이미 50년대부터 피델 카스트로’(FidelCastro)체 게바라’(CheGuevara)가 이룬 쿠바 혁명은 누에바 칸시온의 정신적인 힘이 된다. 근거지가 생긴 것이다.

 

음악적으로는 안데스 음악이 바탕이 되었다. 그 음악적인 초석을 마련한 인물로 아르헨티나의 아타왈파 유팡키(AtahualpaYupanqui)와 칠레의 비올레타 파라(VioletaParra)가 손꼽힌다. 이 노래들은 자신들 뿐만 아니라 누에바 칸시온 세대의 가수들에 의해 라틴 아메리카 민중들에게 널리 퍼진다.

 

안데스 인디오의 혈통을 이어받고, 안데스 지역 민속음악을 발굴하는데 평생을 바친 아타왈파 유팡키는 가수이자 시인, 클래식 기타리스트였다. 그는 인디오의 전통을 직접 경험하며 자랐다. 안데스의 전통음악에서 자신의 음악적 뿌리를 확인했다. 그의 이름 아타왈파는 잉카제국 왕의 이름이며, ‘멀리서 와서 노래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아타왈파 유팡키는 아르헨티나 음악의 대모’, ‘누에바 칸시온의 진정한 거장으로 불리는 메르세데스 소사에게 커다란 영향을 준 인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70년대 라틴 아메리카의 현실을 노래했던 많은 가수들의 정신적 지주이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독재정권에 시달렸던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음악가들을 비롯해 저항과 진실의 메시지를 담아 노래했던 세계 각국의 아티스트들로부터 커다란 존경을 받았다.

 

메르 세데스 소사, 사진및 글일부,출처,지식백과-월드뮤직

 

칠레 민속음악의 어머니로 불리는 비올레타 파라(VioletaParra)는 메르세데스 소사의 목소리로 전 세계에 감동을 전했던 명곡 ‘Gracias a laVida(생에 감사해)’의 원곡 가수이다. 메르세데스 소사와 함께 누에바 칸시온을 대표하는 칠레의 저항가수인 빅토르 하라에게 음악적 자양분을 공급한 인물이며, 자녀들인 이사벨 파라(IsabelParra)와 앙헬 파라(AngelParra)는 빅토르 하라의 음악 동료이자 칠레의 누에바 칸시온을 대표하는 인물들이다.

 

 

Gracias a laVida(생에 감사해), 메르세데스 소사

 

 

 

 

+ Recent posts